버미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버미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50) N
    • html, css (83) N
    • 서문 (3)
    • python (124)
    • c언어 (13)
    • gpt활용 (1)
    • pymysql (17)
    • SQLD (8)
    • 업무 (1)

검색 레이어

버미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SQLD

  • MSSQL 실습

    2025.05.08 by bumychoi

  • 2.2 관계와 조인의 이해

    2025.05.04 by bumychoi

  • 2.1 정규화

    2025.05.04 by bumychoi

  • 1.5 식별자

    2025.05.03 by bumychoi

  • 1.4.1 관계

    2025.04.28 by bumychoi

  • 1.3.1 속성의 개념

    2025.04.28 by bumychoi

  • 1.2 엔터티

    2025.04.23 by bumychoi

  • 도입 및 1.1 데이터 모델의 이해

    2025.04.23 by bumychoi

MSSQL 실습

CREATE DATABASE EX4 ON ( NAME = 'logical_EX', FILENAME =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6.MSSQLSERVER\MSSQL\DATA\os_file_EX4.mdf', SIZE = 10MB, MAXSIZE = 100MB, FILEGROWTH = 5MB ); USE EX4; CREATE TABLE customer ( cno char(10) NOT NULL, cname char(20) NOT NULL, city char(20) NOT NULL, point int NOT NULL, primary key (cno) ); INSERT INTO customer VALUES ('c1', '이순신',..

SQLD 2025. 5. 8. 15:17

2.2 관계와 조인의 이해

정규활를 통해 많은 테이블로 분해된 데이터베이스는 전제적으로 조회 성능이 떨어질 수 있음. 데이터의 중복이 증가하면 데이터의 정합성이 깨질 가능성도 높아짐.트레이드 오프 관계가 성립 -두 개의 속성이 서로 상충하는 관계로서 하나가 증가하면 다른 하나는 감소하는 관계 성능 데이터 모델링성능 데이터 모델링이란 분석/설계 과정에서부터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중분히 고려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한다는 개념1) 데이터 모델링 시 정규화를 정확하게 수행2) 데이터베이스 용량산정을 수행3)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행을 파악4)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행에 따라 반전정규화를 수행5) 이력모델의 조정,PK/FK 조저으 슈퍼타입/서브타입 조정 등을 수행6) 성능관점에서 데이터 모델을 검증 2.2.1 반정규화의 필요..

SQLD 2025. 5. 4. 13:16

2.1 정규화

데이터베이스의 이상현상 (Anomaly) - 데이터를 입력, 수정, 삭제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일관성이 깨지는 것1)삽입이상2)갱신이상3)삭제이상 정규화 -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면서 테이블을 보다 잘 조작된 상태로 분해하는 과정정규화는 일반적으로 입력, 수정, 삭제 성늘은 일반적으로 올라가고, 조회성능은 조건에 따라 향상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 많은 조인이 발생되어 성능은 하락.항상 조회성능이 떨어뜨리는 것은 아님. 정규화가 잘 되어 있지 않으면 불필요한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등 전체 시스탬 성능이 하락함 제1 정규화 -릴레이션의 속성값이 모두 원자값, 중복값 제거, 기본기 설정 하나의 속성값만을 가짐, 유사한 속성이 반복되않는 상태제1정규형로 만드는 것을 제1정규화 제2 정규화 - 기본기 2개 이..

SQLD 2025. 5. 4. 12:48

1.5 식별자

1.5.1 식별자의 개념 앤터티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 식별자엔터티의 인스턴스의 대표 속성키(key)-정렬, 조인 등의 기준이 되는 속성.후보키(Candidate Key), 기본키(Primary Key), 대체키(Alternate Key),외래키(Foreign Key)등이 있다. 1.5.2 주식별자 엔터티의 유일하게 구별해주는 식별자 ->PK(Primary Key)성질 - 유일성, 최소성, 불변성, 존재성 1.5.3 식별자의 분류1) 대표성 여부 주식별자- 해당 엔터티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식별자로 유일성, 불별성, 존재성을 만족하는 식별자. 보조식별자- 식별자이기는 하나 대표성을 가지지 못함. 다른 엔터티와 참조관계를 연결할 수 없는 식별자. 2)스스로 생성 여부내부식별자-..

SQLD 2025. 5. 3. 16:02

1.4.1 관계

관계의 개념엔터티와 엔터티 간에 맷고 있는 연관성 연관관계: 존재자체로 연관성을 가짐의존관계: 특정 행위를 할때만 연관성을 가짐 1.존재적 관계사원-부서의 관계처럼 일종의 소속 관례를 갖는 경우, 존재 자체로 연관성을 갖음.2. 행위적 관계고객과 주문의 관계처럼 한 엔터티가 특정 행위나 이밴트를 일이킬 경우 연관성이 발생하는 관계 표기법 1.관계명(Membership)관계의 이름을 나타낸다. 존재적 관계와 행위적 관계를 기술 2.관계차수(cardinality)일대일 1:1, 일대다1:m(1:n), m:n과 같이 관계를 맻는 엔터티 인스턴스의 차수를 나타냄 3.관계선택사양(Optionality)필수적 관계인지 선택적인 관계인지를 나태냄.일대다관계에서 선탹적인 경우 까치발 기호에 O표시를 덧붙임.

SQLD 2025. 4. 28. 22:49

1.3.1 속성의 개념

sqld의 모든것에 책에 공부한것을 정리함. 속성이란?->ATTRIBUTE 엔터티에 자세하고 구제적인 정보,하위요소 개수의 제한 없지만 처리하고자 하는 업무 프로세스에 필요한 것을 최소화 의미상으로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단위 속성값? 속성이 가질 수 있는 특정값을 말함. 엔터티의 인스턴스가 가진 구체적인 값하나의 엔터티의 인스턴스는 한가지의 속성값을 가짐.한개의 엔터티는 두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한개의 엔터티는 두개 이상의 속성의 집합한개의 속성은 한개의 속성값만 가짐. 속성의 분류기본속성- 본래의 속성설계속성- 설계시 필요하고고 판단되어 도출한 속성파생속성 -다른 속성에서 계산, 특정규칙으로 나옴 속성의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PK(Prim..

SQLD 2025. 4. 28. 22:38

1.2 엔터티

출처:SQLD의 모든것 1.2.1 엔터티의 개념Entity란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요소 중 독립적으로 식별 가능한 객체도서관->모델링엔터티 -> 회원,대출 도서 등(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것)속성(attributre)-> 엔터티의 하위요소 회원명, 주소, 전화번호,비밀번호 등주식별자 ->pk(primary key) ERD에서 일반 속겅과 칸막이로 구분 1.2.2 엔터티의 특징1)업무에서 필요로 하고 관리하자고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2) 식별이 가능하도록 유일한 식별자를 가져야함.3)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인스턴스가 두개 이상인 집합을 이루어야함.4) 하위요소로 반드시 속성을 가여야함.5) 엔터티는 다른 엔터티와 한개 이상의 관계를 가져야한다. 단. 통계성 엔터티나 코드성 엔터티의 경우 관계를 생략 가능. 1...

SQLD 2025. 4. 23. 19:24

도입 및 1.1 데이터 모델의 이해

SQLD 시험을 목표로위 책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이 블로그는 복습 차원에서 이용하는 것임. 1.1.1 모델링의 개념모델링란? -현실세계를 대상으로 일종의 모댈을 만드는 것-> 일정하게 도식화한 것- 약속된 표기법을 따라함.-업무의 흐름을 가시화하고 명세화(업무의 흐름을 가시화하고 명세화하는 것-약속되지 않은 표기법을 사용할 경우 업무에 협업에 활용할 수 없음.- 모델링은 추상화가 기본임. ->특징을 추려서 단순화함.1.1.2 모델링의 특징1) 추상화 - 주요특징을 추줄2) 단순화 - 현실세계를 단순하게 표현3) 명확화 -대사을 명확하게 모호함을 제거 1.1.3 모델링의 세가지 관점1)데이터 관점(WHAT)- 데이터 관계 사용도를 모델링2)프로게스 관점(HOW) - 업무가 어떵게 처리되는지 ..

SQLD 2025. 4. 23. 18:3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버미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